본문 바로가기
IT/Information Security

웹 표준과 회사 기본 인프라 구조 ( 방화벽, DMZ영역 포함)

by 바삭바삭수미칩 2021. 1. 29.

웹 표준

 

-규격 만드는 곳: w3c

-인증 기술은 FIDO(지문인식, 생체인증)와 EMVCo(소지 기반. ex. QRcode, NFC 등)

-최근 공인인증서가 사라지면서 여러 회사에서 인증 수단을 많이 만들고 있음.

 

모든 회사의 인프라는 이 구조의 확장

 

라우터-ISP-인터넷

   |

백본스위치 L3 ( IP주소 이용)

 |      |     |

s/w s/w  s/w  L2 ( MAC 주소 이용)

|   |  |  |   |  |

 

*이렇게 되면 보안적인 요소가 없다. 아래는 보완

 

라우터-ISP-인터넷

   | -F/W(방화벽) - DMZ영역(WEB server + Mail server)

   |      ㄴ ---------DB ( DMZ의 WEB서버 IP의 특정port만 허용 설정)

   |

백본스위치 L3 ( IP주소 이용)

 |      |     |

s/w s/w  s/w  L2 ( MAC 주소 이용)

|   |  |  |   |  |

 

*방화벽

1.인터페이스 구분

내부, 외부, DMZ 최소한 이 3개를 이용해서 분리해야 함.

내부는 - NAT, 사설IP

 

2.Rule 설정 (정책설정)

각 인터페이스마다 보안 정책을 넣는다.

1. 장치 차단. 필요한 것만 열어준다. (Port 80,433,SSL 이렇게는 기본으로 열어둬야 한다. / 메일서버라면 SMTP,POP)

 

 

 

*DMZ영역

외부에서도, 내부에서도 access가능.

외부 서비스가 필요한 서비스들을 구축.

DMZ로 인해서        이 영역들은 보호가 된다.

DMZ에는 웹서버, 메일서버 구축.

 

 

IP주소 : 200.100.100.10 을 받았다고 가정하자.

SubNet : 255.255.255.0 (c클래스)

-------------------------------------------------- &연산

NW주소   200.100.100.0

 

Destination IP 200.100.100.30이면 여기에 NW주소를 대입한다. 

같으면 ARP보내고 다르다면 default gateway로 넣는다

 

여기있는 백본 스위치는 라우팅 기능이 들어가있다.

특이한 점은 경로를 찾아간다

스위치는 경로를 따라서 찾아갈 수 없다.

subnet을 통해서 같은 네트워크 대역이냐 아니냐가 달라진다.

 

백본 스위치는 VLAN 라우팅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핵심!

백본 스위치는 안정성, 처리용량 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