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Information Security

네트워크 장비의 종류 - 건물의 네트워크 연결, NIC, VoIP장비

by 바삭바삭수미칩 2021. 2. 3.

 

네트워크 장비 종류

 

1) 건물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 구조

-일반적으로 각 층에 연결은 IDF. 스위치 설치

 

그리고 IDF를 통합하는 MDF로 연결 ( 보통 지하에 MDF실이 있다 / 일반 주택은 길가에 있거나 특정 공간에 집적시켜 놓는다) MDF는 외부로 나가려면 라우터를 통해 빠져나간다.

 

*IDF - 중간 단자함

*MDF - 주 배선반

 

2) NIC

-사용자의 경우 이더넷 NIC를 통해 스위치와 연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는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네트워크 카드, 랜 카드,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라고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네트워크 카드, 이더넷 카드 등으로도 부른다. 위키백과 )

 

서버랜카드의 경우에는 많은 설정을 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TEAMING설정 및 패킷 프레임을 크게 설정 가능.

 

*TEAMING - NIC랜카드 포트를 묶어서 가상 어댑터를 만들 수 있음

2개 이상의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랜카드)를 묶어서 가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하나의 Ethernet Port로 사용하는 기술.

이것으로 랜카드의 Failover(랜카드 두개 중 하나에 장애 발생에도 끊김없이 동작),Load Balance(랜카드에 적절하게 부하를 분산),Trunk(대역폭 확장)등을 구현가능.

 

 

3)커멘드 라인 사용

ipconfig/all 네트워크 ip주소 및 mac주소, dns설정 확인 -DHCP과정

 

*DHCP - DHCP란 호스트의 IP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

 

ipconfig/renew 네트워크 주소 갱신

ipconfig/displaydns dns캐쉬 상태확인

route print 라우팅 경로 테이블 조회 및 추가 제거 기능

Arp -a ARP테이블 조회

Nslookup DNS진단 및 조회 (Nslookup 이후 도메인 주소 입력  /  리눅스에서는 dig)

Ping ICMP 패킷으로 응답 확인 및 RTT 지연 확인

Netsh 윈도우 네트워크 설정

Ping 127.0.0.1 루프백 검사 (IP프로토콜 정상 동작확인) 127.0.0..1은 테스트를 위한 IP. 루프백 IP라고 부른다.

 

 

DNS서버를 설정할 때, 처음에 질의하고 응답이오면 pc에 캐시가 된다.

만약에 dns ip를 다른 주소로 바꾸면 캐시로 남아있기 때문에 이중주소로 접속하려고 한다. (통신 안되는 상황 발생)

그래서 ipconfig /flushdns ( DNS 기존 캐시를 삭제하고 다시 DNS 정보를받아, 빠른 갱신과 빠른 접속이 가능 )

입력하고 다시 테스트 해봐야 한다. 

 

 

packet tracer에서 switch mac table 확인

switch의 경우 맨처음 mac학습을 해야 함. 이를 위해 모든 포트로 플러딩.

ARP테이블을 생성해야 데이터를 전달 가능.

ARP테이블은 pc, 스위치 모두 생성이 되어야 된다.

 

4)멀티레이어 스위치

L2기능과 L3기능을 동시에 수행가능한 스위치. (라우팅 기능이 추가)

 

보통 VLAN간 라우팅 수행시 상단 라우터 대신 수행 (백본 네트워크로)

 

처리 용량 大

 

4)VoIP장비 (voice of IP)

IP 프로토콜 위에 음성 데이터를 올릴 수 있음 (전화기)

사용자 단말기, call manager , voice router 필요

 

 

무선의 이해

MAC주소 - 유선  802.3  /  무선 802.11

physical -   유선 UTP/RJ-45   /  무선 공기

 

APP - TCP/UDP - IP 계층은 똑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