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지원은 국내 기업과는 전혀 다른 프로세스입니다.
그래서 잘 시도하기도 어렵고, 정보를 얻기도 힘듭니다.
오늘은 외국계 지원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크게 구분하자면,
- Resume(영문 이력서) 준비
- 채용 공고 찾기
- 면접 준비
라고 할 수 있습니다.
Resume 준비
외국계는 대부분 자기소개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영문이력서를 준비해 지원만하면 됩니다. 간단하죠?
이러한 간편함때문에 레쥬메를 준비한 후에는 마구마구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레쥬메를 만들기까지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웬만하면 무조건 프로페셔널하게 준비하자는 마음으로, 컨설팅을 많이 받았습니다. 크몽에서 '영문 레쥬메' 라고 검색하면 무수히 많은 서비스가 나옵니다. 이 중에서 후기가 좋고, 합리적인 가격인 서비스들을 추려 선택했습니다.
제가 구매했던 서비스는 영문 이력서 예시 파일과 가이드 파일, 그리고 한글로 작성한 이력서를 보내면 첨삭해주시고 영문으로 변환해주는 풀 서비스였습니다. 기본보다는 더 비싼 15만원?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당시 서비스 판매자분이 너무 친절하시고 도움을 많이주시는 동시에 프로페셔널하셔서 믿고 더 투자했습니다. 지원을 결심했던 AWS의 공고가 올라온지 꽤 되어 빨리 제출해야한다는 급박함도 있었구요.
보통은 한글로 이력사항을 나열하고, 레쥬메 형식 예시라고 검색해보면 많이 나오는 형식들에 맞추어 번역해 제작하곤 합니다. 검색해보면 많이 나올거에요. 저처럼 조금 더 프로페셔널하게 하고 싶으시다면 크몽에서 서비스를 찾아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레쥬메의 핵심은 지원 공고의 job description과 일치하는 지, 깔끔, 명확성 입니다.
채용 공고 찾기
국내 채용 공고는 스펙업, 자소설닷컴 등에서 많이 찾으실텐데요,외국계 채용 공고는 어디서 찾을까요?
제가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들은 아래 3가지입니다.
외국기업 취업전문 사이트 피플앤잡
외국기업 취업전문 사이트 피플앤잡
www.peoplenjob.com
20대에게 가장 필요한 커리어 정보, 슈퍼루키
슈퍼루키는 20대를 위한 커리어 플랫폼으로, 선별된 채용공고(인턴/신입/주니어경력)와 커리어 콘텐츠, 이력서/자소서관리 및 교육 등 20대의 취업와 커리어개발에 가장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
www.superookie.com
LinkedIn 로그인 또는 회원 가입
675m 명 회원들이 함께 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세상 비즈니스 인맥을 쌓고 넓히세요. 커리어 계발에 유용한 정보와 기회의 문으로 들어오세요.
www.linkedin.com
음 자주 사용하는 순은 슈퍼루키- 링크드인- 피플앤잡 입니다.
슈퍼루키는 조금 더 20대에 맞춤이고, 링크드인은 다양한 공고를 볼 수 있답니다. 피플앤잡은 조금 보기 어려운데 두 플랫폼에서 보지 못한 공고들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더라구요.
아 더불어 링크드인은 외국계를 준비하신다면 무조건 가입하고, 관리하시길 바래요. 링크드인은 회사인들의 SNS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걸로 경력기입도 하고~ 이직하기도 하고~ 회사를 지원하기도 하고~ 등등 아주 필수적인 SNS에요.
면접준비
대략적인 외국계 채용의 프로세스는 레쥬메 검토 - 1차면접 - 2차면접 입니다.
이 틀 안에서 조금씩 변경되기도 합니다.
1차면접은 Phone Interview라고 해서 간단하게 전화로 인터뷰를 하거나 대면해서 면접을 보기도 합니다.
2차면접은 PT를 보기도 하고, 임원 면접을 보기도 합니다.
일단 저만해도 정말 다양한 면접 프로세스를 경험해서 어떤게 맞다고 확언드리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외국계는 진행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알고 시작하기 어려워 매 순간마다 가슴을 졸이게 됩니다..
그렇다고 면접 후기가 있느냐? 없거든요.. 검색해도 잘 안나옵니다.
제가 경험했던 면접은
- 1차 Phone Interview(국내 HR) - 2차 PT + 30min 1:1 면접 2개
- 1차 Phone Interview(해외 HR) - 1차 대면 실무진면접 - 2차 대면 임원면접
- 다대다로 진행된 PT+면접
- Virtual로 진행된 면접 ( 웹 사이트에 들어가서 저장되어있는 질문에 화상으로 대답하고 녹화해서 제출하는 )
이렇게입니다. 정말 다양하죠?
그래서 명확하게 정의를 내리기가 어렵습니다.
저도 회사측에서 날아오는 메일을 받고서야 뭘 준비해야 하는지 알게 되는 방식이라서..
가장 당황스러웠던건 Virtual면접...........
면접 준비는 예상 질문을 준비하고, 스크립트를 작성해서 달달달달 외우는 것입니다.
면접에 대한 이야기는 따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할게요. 할 말이 많거든요!!
오늘은 대략적인 Overview 느낌으로 작성해보았어요.
다음에 또 포스팅하겠습니다!
'GO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계 기업을 준비해온 과정(1) - 왜 외국계 취업을 준비하게 되었나? (5) | 2021.04.04 |
---|---|
SOPT 28기 OB 서버 합류-! (0) | 2021.03.02 |
SOPT 서버 파트 OB 지원 ! (0) | 2021.02.25 |